adjust “양적 성장과 질적 한계의 중첩”극복
기존 교육정보화 정책의 성과
- - 높은 교육용 컴퓨터 보급률
- - 나이스(NEIS) 등 교육행정정보 시스템 구축
- - 스마트 교육 도입
- -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보급 등
기존 정책의 한계
- - 성과가 지속적인 교육정보화 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, 양적인 성장과 질적인 한계가 상존하는 양상
연구목적 (개선방안)
- ① 미래형 ICT 교육환경 조성
- ② AI·빅데이터·IoT 등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지속형, 맞춤형 교육정보서비스 품질 제고
- ③ 나이스(NEIS) 등 교육행정정보 서비스의 고도화, 디지털 인프라의 통합 등을 통해 교육정보화 정책의 현장안착 및 교육정보 활용 촉진
adjust “학교급별, 기능별로 분절적 교육정보화사업 추진” 탈피
현안 과제
- - 교육부 및 산하기관의 24개 부서와 기관이 제각각 51개 교육정보화 사업을 별도 추진
- - 사용자 서비스, 물적 인프라,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별 운영
- - 예산 및 사업 내용에 대한 총괄적인 타당성 검토에 어려움 발생
- - 정보시스템 현황 관리와 후속 사업 추진의 중복 및 비효율화
연구목적 (개선방안)
- ① 초·중·고 교수학습 및 행정 운영 등의 교육정보화사업 관점의 대응 방안 모색
- ② 학제간 정보화 수준의 격차 해소 방안 마련
- ③ 정보화 관련 사업의 표준화 등에 관한 법제도 정비의 필요성 제시
adjust “쌍방향 소통 및 맞춤형 서비스 부족” 해소
현안 과제
- - 해외 각국(미국, 뉴질랜드, 중국, 싱가포르, 아랍에미리트 등)에 비해 민간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교육정보화서비스 품질 개선 노력 미흡
연구목적 (개선방안)
- ① 학습관련 데이터(수치, 텍스트, 음성, 영상) 축적 및 학생-시스템간의 실시간 상호작용(학생의 학습에 따른 콘텐츠 제시, 학생과의 실시간 대화)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실시간 교육 정착
- ② ICT 활용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된 서비스와 생애주기별 교육서비스 제공
- ③ 온라인학습시스템의 다양한 콘텐츠 확보, 학습기기 지원, 사회관리 등 체계적 교육시스템 마련 통한 지속적인 학습권 보장 방안 제시